DopeorNope 개발일지

POSTECH 인공지능대학원 합격수기1 본문

잡다한 것들

POSTECH 인공지능대학원 합격수기1

DopeorNope 2024. 5. 8. 15:33

이번에 포항공대, 인공지능 대학원 서류 및 필기 합격 수기를 작성하려고 한다.

 

우선 필자의 학력은, 입결기준 건동홍 라인으로 입학했으며,

 

전공은 산업공학계열 1전공, 경영 2전공으로 하여서 대학교를 다녔다.

 

2전공이 경영이라 너무 쫄렸다. 다만, 나는 혼자 수학공부를 많이 했고, 선대수, 이산수학, 미분방정식, Calculus, 공학수학, 통계, 확률론, 최적화를 다루는 경제수학, 게임이론, 그래프이론 등 수학관련 수업을 일부러 찾아들으며, 여러 학생들의 두뇌에 저사람 뭐지(?)라는 인상을 많이 남기며 학교를 다녔었다.

 

전공 GPA는 4.37, 전체 GPA는 4.24정도 된다.

 

학부 연구원 및 여러 연구 경험이 3년정도 있었고, 인공지능 경진대회 관련 상장은 한 3개정도 보유하고 있으며, 논문은 3개정도 주저자2개 공저자 1개 있다(SCI 2개, 국내 컨퍼런스 1개).

 

추가적으로 유명 라이브러리의 공헌자로 등록되어 있다.

 

포스텍 인공지능의 경우, 미디어 AI 및 AI 이론에 관련해서 국내에서 견줄곳이 없는 수준이다 보니, 좀 걱정이 많이 되었다.

 

그러다 보니 서류 준비를 정말 열심히 했는데, 서류 관련해서 아래와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자기소개서 및 연구 계획서>

 

자기소개서와 연구 계획서의 경우는, 매우 컴팩트 하게 작성했다.

 

최대한 미사여구를 제외하고, 내가 어떻게 연구를 시작하고, 어떤 연구를 했는지, 그러면서 여기서 왜 포스텍에 가고 싶었는지를 적었다.

 

특히 나는 포스텍과 공동 연구경험이 좀 있어서, 이를 활용하여서 내가 솔직하게 느끼는 것들을 잘 담았다.

 

또한, 기존 내 연구들을 잘 녹이고, 내 실적들을 최대한 미사여구를 제외하고 적었다.

 

연구계획서의 경우는 내가 막연히 뭐가 하고싶다가 아닌, 왜 이걸 하고 싶은지 작성하는 걸 시작으로 작성하였다.

 

연구 경험이 많아서, 나는 이걸 꽤 진솔하고 명확하게 작성할 수 있었고, 최근 논문 동향들을 파악하고 있어서 작성하면서 동시에 한계점을 말하고 이런걸 극복하고 싶다는 방향으로 작성했다.

 

이게 왜 중요 하나면, 결국 내가 무얼 연구할것이고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데에 포커스를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연구의 깊이가 나오기 때문에, 나는 이를 로지컬하게 작성하는데 집중했다.

 

<우수성 입증 자료>

 

솔직히 나는 우수성 입증자료가 180페이지 정도 되었다.

 

과거 내 연구 포트폴리오, 상장, 나온 보도자료, 논문, 보고서, 연구 참여 확인서, 추천서 등을 다 합치니 180페이지 정도 나와서,

 

이걸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정리하여 제출하였다.

 

내가 두서없이 업로드 하는것 보다는, 누가 보는지가 중요한 영역이기에, 이를 신경써서 준비했던것 같다.

 

이후 오탈자 다 검증하고, 문법 교정하고, 제출 완료.

 

 

보통 6시 발표라는걸 알고 있었는데, 교수님 회의이후 결과가 발표가 나다보니, 한 6:40분쯤 메일이 날라왔다.

 

 

 

 

호올리... 솔직히 많이 걱정이 되었다.

 

다만, 내가 보여주었던 퍼포먼스들을 믿었기에.. 이제 2차 필기 시험을 준비하기로 결심했다.

 

두가지 교재를 가지고 시험을 보는데 교재와 시험범위는 다음과 같다.

 

1. 알고리즘

- 교재: “Algorithms”, Sanjoy Dasgupta, Christos Papadimitriou, Umesh Vazirani, McGraw-Hill, 2008.

- 시험범위: Chapter 2,3,4,5,6

 

2. 기초수학

- 교재: "Mathematics for Machine learning", Marc Peter Deisenroth, A.Aldo Faisal, Cheng Soon Ong

- 시험범위: Part1

 

 

두가지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알고리즘은 수도코드 분석 및 관련한 것들을 증명하는 내용 위주로

 

기초수학은, 그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것들이 나온다.

 

필기 준비의 자세한 것은 다음 포스트에서 한번 나눌 수 있도록 하겠다...

 

어우 힘들었다...

 

추가적으로 연구 참여 확인서나, 연구참여서는 경력사항으로 넣어도 되니 거기다가 넣어도 됨...

'잡다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LLM 개발일지1  (0) 2024.01.16